목차
민생회복과 국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오는 23일부터 판매를 시작하는 기후동행카드에 이어 새로운 혜택의 대중교통 카드가 출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. 바로 K-패스 인데요. 기후동행카드는 이용권 구매시 무제한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반면, K-패스는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하여 환급받는 방식에서 그 차이점이 있습니다. 오늘은 5월 출시를 앞두고 있는 K-패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K-패스 적립률
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, 지출금액의 일정비율(일반인 20%, 청년 30%, 저소득층 53%)을 월 최대 60회 적립하여 환급해주는 교통카드 입니다.
적립률 | ex) 요금 1,500원 기준 | 월 최대 환급금액 | |
일반 | 20% | 300원 | 14,000원 |
청년층 | 30% | 450원 | 21,000원 |
저소득층 | 53% | 800원 | 37,000원 |
***이동거리와 무관 (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 한도) |
2.K-패스 이용노선 및 이용지역
(1)K-패스 이용노선
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 외에 GTX-A, 광역버스 등 고비용 교통수단 이용 시에도 사용가능케 하여 장거리 출퇴근자의 부담도 대폭 완화될 예정입니다. (사업 시행 전 검토 후 별도 안내 예정)
(2)K-패스 이용지역
현재 176개 지역에서 5월 까지 186개 지자체로 확대할 계획이며, 인구 10만명 이하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 사실상 전국 모든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현재 176개 지자체 : 서울, 인천, 경기, 대전, 세종, 광주, 부산, 대구, 울산 등 주요 지자체
-추가 13개 지자체 : 동해, 태백, 횡성, 영월, 음성, 진천, 보은, 영동, 증평, 괴산, 단양, 장성
3.K-패스 신청방법
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K-패스로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K-패스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 신규 이용자는 K-패스 홈페이지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11개 카드사 홈페이지 등에서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고른 후, K-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더불어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까지 중복으로 적용받을 수 있는 점이 큰 메리트로 작용합니다.
***알뜰교통카드 어플에서 이용약관 및 회원전환 등 동의 절차 진행 (2월부터 세부 안내 예정)
***신한카드, 하나카드, 우리카드, 현대카드, 삼성카드, BC카드, KB국민카드, 티머니, 이동의즐거움, DGB유페이
4.알뜰교통카드 vs K-패스 vs 기후동행카드
알뜰교통카드 | K-패스 | 기후동행카드 | |
주요 혜택 | - 도보,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환급 - 출도착 시 어플로 기록해야하는 불편함 - 일반 최대 ~450원 / 청년 최대~650원 / 저소득층 최대~1,100원 적립 |
-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 환급 - GTX-A, 광역버스에도 사용가능 - 전국 단위 사용가능 - 일반 20% / 청년 30% / 저소득층 53% |
- 월 62,000원 / 월 65,000원권으로 나누어 출시 - 이용권 구매시 무제한으로 대중교통 이용 -서울 및 일부 수도권에만 이용범위 한정 |
이런 사람들에게 추천 | - | - 서울 뿐만아니라 지방에서도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사람 - GTX-A나 광역버스로 출퇴근하는 사람 -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 |
- 서울 또는 서울과 연결된 인근 수도권으로 이동이 많은 사람 - 버스, 지하철 뿐만 아니라 따릉이도 많이 이용하는 사람 - 달마다 약 43회 이상 서울 시내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시는 사람들은 본전 뽑는 교통패스 |
서울 무제한 교통카드 기후동행카드 1/27부터 사용가능!! 구매는 1/23부터
출시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서울시 무제한 교통카드 '기후동행카드'의 출시일이 나왔습니다. 내년 2024년 1월 27일 토요일에 출시하며, 인천과 김포시도 기후동행카드 사업에 동참하며 수
bankhill.tistory.com
자신 또는 주변에 전세사기 당한 사람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!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
1.전세사기 특별법 지원대상 ①주택 인도와 주민등록 및 전입신고를 마치고 확정일자를 부여받은 경우 (임차권등기를 마친 경우도 인정) ②임대차보증금 3억원 이하 ③다수의 임차인에게 임대
bankhill.tistory.com
친구랑 같이 살거나 동거 중인 경우 월세 세액공제 받는 법
치솟는 주거비용을 아끼기 위해 친구와 함께 거주하거나 결혼을 앞두고 동거하는 분들도 꽤 계시리라 생각됩니다. 곧 다가오는 연말정산 시즌, 친구나 연인과 같이 월셋방에 거주 중일때 월세
bankhill.tistory.com
'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년 기준 중위소득 상향! 달라진 생계급여 중위소득 50% 100% 150% 확인하기 (0) | 2024.01.21 |
---|---|
'수습기간 3개월' 수습기간 두는 이유 수습 사원 임금적게 주는 것도 조건을 충족해야한다. (0) | 2024.01.20 |
비행기 놓쳐서 못탔을 때 환불받는 법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취소수수료 환불 위약금 정리 (0) | 2024.01.17 |
자신 또는 주변에 전세사기 당한 사람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!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총정리 (0) | 2024.01.16 |
0세는 월 100만원! 2024년 달라지는 부모급여 첫만남이용권 인상 지원금액 신청방법 지급일 총정리 (0) | 2024.01.15 |